SAP Group Reporting의 유효지분율 계산 – 순환출자 사례

연결결산 유효지분율 계산
Nov 04, 2025
SAP Group Reporting의 유효지분율 계산 – 순환출자 사례

1️⃣ 왜 ‘유효지분율(Effective Ownership)’이 중요한가

  • 연결재무제표에서 “지배력” 판단의 기준은 단순한 지분율이 아니라 유효지분율임.

  • 복잡한 출자 구조(특히 순환출자, 교차출자)가 있을 경우 단순 곱셈이 불가능.

  • SAP Group Reporting에서는 Consolidation Unit 간의 소유관계 테이블(Ownership Data)을 기반으로 시스템이 자동 계산함.

“SAP Group Reporting의 Consolidation Engine은 Recursive Algorithm을 이용해 순환 출자 구조에서도 유효지분율을 자동으로 산출합니다.”

2️⃣ 기본 개념 – 직접지분율과 유효지분율

  • 직접지분율 (Direct Ownership): A가 B의 주식 60%를 직접 소유

  • 유효지분율 (Effective Ownership): 중간회사를 거쳐 간접적으로 소유한 비율까지 반영

  • 예시:

    • A → B (60%), B → C (50%)

    • A의 C에 대한 유효지분율 = 0.6 × 0.5 = 30%

3️⃣ 순환출자 구조 예제

이 구조는 T100-T200-T400-T200으로 순환출자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단순 곱셈으로는 유효지분율을 구할 수 없습니다.

4️⃣ 수학적 접근 (Jacobi-like Iterative Method 소개)

SAP Group Reporting에서는 내부적으로 순환출자 계산 시 행렬(iterative matrix) 접근법을 사용합니다.

반복 계산 최대 한도는 99번, 이전 반복 대비 입실론 0.000000005(0.0000005%) 차이 이내일 경우 계산을 중지합니다.

따라서 최대 허용 오차는 0.0000005% 이내로 볼 수 있습니다.

5️⃣ SAP Group Reporting에서의 적용

아래와 같이 직접 지분율을 Group Reporting 플렉서블 업로드 프로그램으로 업로드한 다음, 연결 모니터에서 지분율 산출 태스크를 실행하여 결과를 확인합니다.

엑셀로 계산해본 결과와 결과 차이를 아래와 같이 분석 가능합니다.

SAP Group Reporting의 유효지분율 계산 로직은 단순 곱셈을 넘어, 순환출자 및 복합지분구조에서도 안정적으로 수렴하는 Iterative Matrix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자동화는 복잡한 연결 구조를 가진 대기업 집단의 재무통합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Share article

SAP 컨설팅 & ITO 서비스